활동 회고록(5)
-
[ GDG X Whatever ] 6주 챌린지 끝! 애자일한 설계 맛보기, 2등 수상
이번 6주간의 챌린지를 진행한 소감을 한마디로 정의하자면 현직자분의 피드백을 바탕으로 기획~배포 까지 프로젝트의 전체적인 플로우를 경험 할 수 있는 기회였다. 우리는 소모임 관리(출석, 회계, 멤버 관리 등) 어플을 구현했다.유저플로우 설계 https://app.eraser.io/workspace/axg9udRdU8NhIzCpldqh ERD 설계https://www.erdcloud.com/d/AWGmk3K42vFRxkEE3JIRA _ 스크럼 방식 https://yangpasi.atlassian.net/jira/software/projects/WHAT/boards/1이번 챌린지 이전의 나의 프로젝트 진행방식은 어땠을까 ? 프로젝트 기한을 고려하지 않은 무리한 기획 코어 기능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함. 한번..
2023.09.30 -
[GDG X Whatever] 4주차 회고록
이번주는 좋은 것과 나쁜 것이 무엇이 있었나요?좋은점 회계만 하면 api는 끝인데.. 오류때문에 매우 더디다 나쁜 점jwt, security가 도입되면서 어려움들이 있었다.머지 충돌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계속 오류가 발생 시켰던 것 같다. 그래서 개발보다는 오류를 해결하는데 더 많은 시간들을 소모했다. 지금도 갑분 member service 에서 에러뜨는데 당황스럽다. 나만 뜨는거 보면 충돌 해결하면서 뭔가 잘 못 된 것 같다. 이번주 진행했던 학습/개발 내용은 무엇이었나요?- 회계 api erd 설계, 개발가장 고민을 했던 부분은 무엇이었나요?db 를 none으로 고정 해 놓고 프론트와 협의 된 정보들만 놓고 진행하다 보니 개발 과정에서 힘이 좀 들었다.개발하는 과정에서는 차라리 local DB..
2023.09.23 -
[GDG X Whatever] 왓에버 3주차 회고록
1. 컨트롤러에 왜 인터페이스를 썼는가? 컨트롤러 인터페이스와 구현체를 따로 뺐는데 생각해보니 왜 굳이 그렇게 했나 싶다. 스웨거에 인터페이스 경로와 구현체 경로가 따로 뜨고 구현체에서 매개변수를 추가할 때 마다 인터페이스도 수정해주어야하는 과정이 다소 귀찮았다. 컨트롤러가 인터페이스를 쓸 요소인건지에 대한 의문이 좀 있는 것 같다. 2. 데이터베이스 설계시에 생각할 것. 데이터 베이스를 엔티티와 매핑시켜 생각하다보니 테이블을 굳이 따로 뺴려고 했던 문제들이 존재했던 것 같다. 유저 테이블로 들어가도 될 것이 따로 테이블로 빠졌던 것 같다. 3. api/task 단위로 브랜치 파서 합치기 revert를 고려했을때 작은 단위로 브랜치 파서 합치는게 좋음.
2023.09.16 -
[GDG X Whatever] 2주차 회고록 with 백엔드 멘토링
이번주좋은것과나쁜것은무엇이있었나요? / 이번주 개발 내용 이번주에 ERD 설계를 진행하면서 서비스의 확장 범위를 어디끼지 고려해야하는가? 에 대한 고민이 많았는데 멘토링 중에 조금 더 애자일하게 설계해도 된다는 말씀에 일단은 mvp에 초점을 맞추고, 추가적인 부분은 후에 고려하기로 결정했던 것 같습니다. 현업에 계신 백엔드 개발자님과 이야기 나눌 수 있고, 조언받을 수 있어서 너무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swagger 초기 세팅을 했는데, 처음에는 springfox로 진행하다가 springdoc으로 바꾸어 진행하니 조금더 수월했던 지점이 있었습니다. 생각보다 최신 버전을 알아보고 사용하는 것이 개발의 진척도를 올리는 것에 많은 차이를 가져다 줄 수 있다는 것을 알게된 것 같습니다. 가장 고민을 했던 부..
2023.09.06 -
[GDG X Whatever Challenge] 1주차 진행 회고록
GOOGLE DEVELOPER GROUPS 에서 주관하는 Whatever you make 라는 6주간의 프로덕트 매니저 챌린지에 참여하게 되었다. 멘토님과 함께하는 6주간의 Whatever 프로젝트 챌린지 기록이다. 1주차 권장 진도 사항은 아래와 같다. 1. 아이디어 선정 2. MVP 기능 정리 3. 유저플로우 4, 개인별 직무 스킬 목표 설정 이번 초기의 직무 스킬 목표는 security와 db설계 및 전반적 백엔드 설계 였는데, 일단 이번 6주간은 mvp 기능과 데모데이에 시현하는 것을 초점에 맞춘 만큼, security 기능은 추후에 하는 것으로 미루었다. 이번 6주간의 경험을 통해 전반적인 설계부터 배포 및 버전 관리까지 전반적인 개발 싸이클을 경험하는데 초첨을 맞추고 싶다. 1. 이번주 좋은 ..
2023.09.06